머리말
우리 기업과 사회는 의사소통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이란 글을 읽거나 상대방의 말을 듣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나아가 국제화시대에 외국어, 특히 국제 공용어인 영문서의 뜻을 이해하고 영어로 외국인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 우리는 초등교육 이전부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교육을 받아왔으나 여전히 의사소통은 기업의 성과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의사소통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면서도 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직장인들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의사소통능력 프로그램보다도 더 부족한 상황이다.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직장생활을 행복하고 성공적으로 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을 높이는 교육은 조직의 성과를 높일 뿐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직장생활 만족도와 업무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책은 직장에서 요구되는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특히 본 교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직업기초능력 중의 하나인 의사소통능력의 능력단위요소인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의사표현능력, 기초외국어능력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반영하여 독자들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 중의 하나인 의사소통능력의 정의과 세부 분야별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능력: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글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파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글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나 말하는 능력 ① 문서이해 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② 문서작성 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가 뜻한 바를 글로 나타내는 능력 ③ 경청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 ④ 의사표현 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가 뜻한 바를 말로 나타내는 능력 ⑤ 기초외국어 능력: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외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따라서 본서는 각각의 의사소통능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와 문제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본서는 총 2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무로 구성하였다. 1부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는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특징, 2장은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매체, 3장은 구두 커뮤니케이션과 문서 커뮤니케이션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2부는 ‘커뮤니케이션 실무’로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장 핵심내용 분석 및 요약, 5장 업무연락 기반 커뮤니케이션, 6장 회의 기반 커뮤니케이션, 7장 보고 기반 커뮤니케이션, 8장 기획 및 프레젠테이션 기반 커뮤니케이션, 9장 홍보 및 기타 커뮤니케이션, 10장 기초 외국어(영어) 기반 커뮤니케이션으로 직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업무 중심 커뮤니케이션 실무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2부 커무니케이션 실무에서는 각 장의 상황별로 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능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사례와 활동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서는 직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별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취업 준비생 뿐 아니라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자신감이 없는 새내기 직장인들, 나아가 오랜 시간 사회생활을 해 온 직장인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본서를 강의교재로 활용할 경우 학생 팀별로 각기 다른 사례와 활동을 제시한 후 각 팀별로 결과물을 발표하고 다른 학생들과의 토론을 이끌어낸다면 본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좋은 의사소통능력 교재를 집필하겠다는 열의로 출발을 하였으나 집필과 정중에 능력의 한계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부족한 부분은 계속 보완할 것을 약속드리며 책의 완성을 참고 기다려주신 도서출판 청람의 이수영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6년 7월 장은주ㆍ송현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