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 정보
정보 고시
도서명 상품페이지 참고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상품페이지 참고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
책요약(저자작성)
머리말
전통 경제학에서는 가장 중요한 생산요소로 ‘노동·자본’을 인식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현대경제학에서 ‘노동·자본·기술’로 발전하면서, ‘기술과 데이터의집단지성인 지식’이란 생산요소가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21세기 지식기반경제로 발전하면서 융합경제와 데이터자본이 가장 주목받으면서 ‘데이터 자본주의’와 ‘
데이터 민주주의’로 발전하고 있다. 경제의 주체도 ‘개인·기업·국가’에서 전 인구의 50%가 사용하는 ‘소셜미디어’가 중심이 되었다. 소셜미디어 활동은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한데, 특히 대한민국 서울시는 5G 사용에 있어 전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혁신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2021 CES에서는
‘Anywhere is Home’이란 테마로 다양하고 엄청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서비스와 활용이 우리의 실생활과 COVID-19 사회를 대처하는 솔루션으로 제시했다.
즉, 디지털 기술혁신으로 빅데이터는 미래를 예측 가능하게 하고, 인공지능은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비즈니스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데이터 기반 비대면 경제의
일반화는 포스트코로나(Post Corona) 시대
의 중요한 비대면 비즈니스 변화가 전망된다. 또한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통해 ‘바코드 비즈니스’에서 ‘QR코드 비즈니스’로 변화하면서, 카카오페이와 디지털화폐 및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확산되는 새로운 경제변화를 만나고 있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제시된 4차 산업혁명 이후, 디지털 기술혁신이 매우 급속하게 전 세계 정치·경제·사회·문화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비대면 경제에서 디지털 비즈니스가 매우 크게 성장·발전하면서,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즉 디지털 불균형과 디지털 윤리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주요
산업경제와 비즈니스에도 데이터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즉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에 디지털 혁신이 가장 중요한 성장 요소와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대부분의 경영자는 디지털 혁신을 통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2020~2021년에 가장 많은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는 산업경제와
기업 및 비즈니스 모델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여 많은 수익을
발생한 애플과 테슬라를 손꼽을 수 있다. 실제 코로나사태로 발생한 ‘동학개미운동’의 일환으로 대변되는 서학개미가 애플과 테슬라의 주식을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다.
디지털의 속성상 역사상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2030년대를 준비하는 소셜미디어 중심의 경제활동 주체와 비즈니스 관계자가 과연 어떠한 이슈와 지식을 교육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단편적으로나마 이슈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저서의 기본 목적이고 방향이라 하겠다. 따라서 데이터의 집단지성인 지식과 인공지능이 경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데이터 경제학(Economics of Data)’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교재는 3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우리가 만나고 있는 새로운 경제환경을 소개한다. 1차/2차/3차/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경제학을 소개하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발생한 경제 이슈를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데이터 기반 AI 기술혁신과 AI 경제학, 기술혁신 경제학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데이터의 집단지성인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경제를 소개하였다. 지식기반경제의 변화와 주요 특징, 그리고 융합경제의 발생과 융합트렌드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데이터 경제를 종합적으로 구체화하여 설명하였다. 디지털 혁신을 통한 데이터 경제학과 데이터 자본주의 및 데이터 민주주의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웹 1.0/2.0/3.0경제와 데이터 경제의 주요 특징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데이터 비즈니스 모델과 경영전략 및 글로벌 데이터 기업 사례를 설명하였다.
본 저서는 데이터 경제와 비즈니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자료로서 ‘데이터 경제학(Economics of Data)’을 소개하고자 한다. ‘데이터 경제학(Economics of Data)’은 매우다양한 전공 분야의 전문성과 융합화된 지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본 저서는 많은 현실적 한계를 갖고 있지만, 가장 빠르게 변화하는 2030년대를 준비하는 경제활동 주체와 비즈니스
CEO와 담당자들을 위한 기본 서적으로 추천,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와 제품 및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AI 경영
(AI Business)’을 발간하여, ‘데이터 경제학(Economics of Data)’을 보완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교재가 출판될 수 있도록 지원해 준 차의과학대학교 빅데이터-인공지능연구소, 그리고 가족의 사랑과 격려에 감사드린다. 또한 지은이가 가능한 많은 각주 해설과 인용출처를 표기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지만,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넓은 배려심과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2021년 3월
저자 김용환 임희정 -
목차
Chapter 1 새로운 경제를 만나다
Chapter 2 지식기반경제를 만나다
Chapter 3 데이터 경제를 만나다 -
저자/역자소개
김용환(金容煥, Yonghwan Kim)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테이터경영학과 김용환(金容煥, Yonghwan Kim) 교수는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 박사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연구정책실장과 한러과학기술협력센터 소장 등으로 20여 년 동안 활동하였다. 특히 2000년 한국기술벤처재단(구 홍릉벤처밸리)을 설립하고,
사무총장으로 파견근무하였다. 현재 재직 중인 차의과학대학교에서는 산학협력단 단장/연구처 처장/창업지
원단 단장/평생교육원 원장/차의과학대학교 빅데이터-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산·학·연·관에서 활동하였는데, 서울시 산하
DMC(Digital Media City)산학진흥재단 상임이사/
국무조정실 정책평가위원회 전문위원/대통령 산하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위원/대통령 산하 수도권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광역위원/서울특별시디지털 미디어시티(DMC) 실무위원회 위원/서울시 산학
연정책위원회 위원/서울시 희망경제위원회 산업경제분과위원장/사단법인 국제지역학회 회장/사단법인 소비자와 함께 공유경제위원장/사단법인서울평양학회 회장/사단법인 대학연구윤리협의회 부회
장·학술위원장/사단법인 경기도 산학협력단장협의회 이사/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지주 사외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하고 있다. 주요 연구학술 활동으로기술혁신, 홍릉벤처밸리, 동북아시대의 코리아벤처밸리, 기술혁신의 산업경제발전론, 연구윤리포럼 등 단행본 및 보고서 100권과 “A Study on the Trend
of Employment Effect and Employment Policy in the Digital Bio-healthcare
Industry”(2021) 논문 등 발표자료 200건 이상의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4차산업혁명과 AI경영/디지털경제와 디지털트렌드 분석/디지털기업사례분석과 비즈니스 모델/빅데이터와 데이터비즈니스 혁신/연구윤리 등에 집중해서 연구 중이다.
임희정(林熙廷, Heejung Lim ) 박사
경기도일자리재단 임희정(林熙廷, Heejung Lim) 박사는 미국 University of Utah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경기도일자리재단에서 일자리지원팀장,중장년일자리센터장, 정책연구팀장으로 활동
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는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실장·연구위원/RehabCare Group Inc.(USA)의 Business Consultant/기술경제경영연구원 연구위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대소과학기술협력센터 연구보조원 등의 활동을 하였다. 주요 연구업적으로 ?Measuring Productivity in Frontier and
Non-frontier model?,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근로자 지원 정책 도입방안 기초연구”, “경기도 청년층 일자리 정책 개선방안 연구”, “국내 지식기반서비스업의특징과 과제”, “국내 서비스업 수급 현황과 시사점”, “국내 적자가구의 가계수지 특징과 시사점” 등이 있다.
-
미리보기
선택된 옵션
-
AI(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 경제학+0원
관련상품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